왜 쓰게 되었나? Spring에서 AOP개념을 공부하다 보면, Spring은 프록시 패턴 기반(정확히는 동적 프록시)이라 AOP 구현체다.라는 말들을 많이 듣게 된다. 프록시라는 용어는 사실 네트워크 때 더 많이 들은 것 같은데, 나에게는 이해와 단어가 따로 노는 단어였다. 그래서 프록시가 뭐냐? 위키피디아의 정의를 빌려오자면, 다른 무언가와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놈이란다. 저 그림을 보고 프록시가 이해가 되는가..? 나는 그림만 보고는 왜쓰는지 전혀 이해를 할 수 없었다. (예전엔 이렇게 정의만 보고 외웠으니 나는 이해하지 못할 만하다 -_-;) 어떻게 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 프록시는 관절이다. 어떤 메서드 내부에서 다른 함수를 호출했다고 가정하자. 프록시 패턴없이 사용한다면, 위 그..
자료구조 스터디 - Tree 구조 문제 풀이 BaekJoon level : Gold2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250 2250번: 트리의 높이와 너비 첫째 줄에 노드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N(1 ≤ N ≤ 10,0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줄마다 노드 번호와 해당 노드의 왼쪽 자식 노드와 오른쪽 자식 노드의 번호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www.acmicpc.net 문제 이진트리를 다음의 규칙에 따라 행과 열에 번호가 붙어있는 격자 모양의 틀 속에 그리려고 한다. 이때 다음의 규칙에 따라 그리려고 한다. 이진트리에서 같은 레벨(level)에 있는 노드는 같은 행에 위치한다. 한 열에는 한 노드만 존재한다. 임의의 노드의 왼쪽 부트리(left subtr..
Solved.ac Class 완전정복 프로젝트 Class : 3 ~ 3 ++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4500 14500번: 테트로미노 폴리오미노란 크기가 1×1인 정사각형을 여러 개 이어서 붙인 도형이며,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정사각형은 서로 겹치면 안 된다. 도형은 모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정사각형의 변 www.acmicpc.net 문제 폴리오미노란 크기가 1×11 ×1인 정사각형을 여러 개 이어서 붙인 도형이며,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정사각형은 서로 겹치면 안 된다. 도형은 모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정사각형의 변끼리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즉, 꼭짓점과 꼭짓점만 맞닿아 있으면 안 된다. 정사각형 4개를 이어 붙인 폴리오미노는..
BaekJoon level : Silver 2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1053 11053번: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수열 A가 주어졌을 때,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수열 A = {10, 20, 10, 30, 20, 50} 인 경우에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은 A = {10, 20, 10, 30, 20, 50} 이 www.acmicpc.net 문제 수열 A가 주어졌을 때,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수열 A = {10, 20, 10, 30, 20, 50}인 경우에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은 A = {10, 20, 10, 30, 20, 50}이고,길이는 4이다..
Solved.ac Class 완전정복 프로젝트 Class : 3 ~ 3 ++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6064 6064번: 카잉 달력 입력 데이터는 표준 입력을 사용한다. 입력은 T개의 테스트 데이터로 구성된다.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입력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데이터는 한 줄로 구성된다. www.acmicpc.net 문제 최근에 ICPC 탐사대는 남아메리카의 잉카 제국이 놀라운 문명을 지닌 카잉 제국을 토대로 하여 세워졌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카잉 제국의 백성들은 특이한 달력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은 M과 N보다 작거나 같은 두 개의 자연수 x, y를 가지고 각 년도를 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하였다. 그들은 이 세상의 시..
Solved.ac Class 완전정복 프로젝트 Class : 3 ~ 3 ++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5525 5525번: IOIOI N+1개의 I와 N개의 O로 이루어져 있으면, I와 O이 교대로 나오는 문자열을 PN이라고 한다. P1 IOI P2 IOIOI P3 IOIOIOI PN IOIOI...OI (O가 N개) I와 O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S와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S안에 PN이 몇 www.acmicpc.net 문제 N+1개의 I와 N개의 O로 이루어져 있으면, I와 O이 교대로 나오는 문자열을 PN이라고 한다. P1 IOI P2 IOIOI P3 IOIOIOI PN IOIOI...OI (O가 N개) I와 O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S와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 Total
- Today
- Yesterday
- 파이썬
- looker core
- dml
- 플루이드 와샬
- value annotation
- 프로그래머스 문제정복
- BFS
- Python
-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 재귀
- JNDI연동
- Spring
- 백준
- 아기상어미워
- DP
- java
- 실패일기
- 그래프 탐색
- looker instance 접속
- 하루 회고
- 카카오
- 자바
- db
- 브루트포스
- Database
- 9019
- 유클리드-호제법
- 아기상어나쁜상어
- DF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