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olved.ac Class 완전정복 프로젝트
Class : 2 ~ 2 ++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0816
10816번: 숫자 카드 2
첫째 줄에 상근이가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의 개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정수가 주어진다.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수는 -10,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
www.acmicpc.net
문제
숫자 카드는 정수 하나가 적혀 있는 카드이다. 상근이는 숫자 카드 N개를 가지고 있다. 정수 M개가 주어졌을 때, 이 수가 적혀있는 숫자 카드를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상근이가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의 개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정수가 주어진다.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수는 -10,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0보다 작거나 같다.
셋째 줄에는 M(1 ≤ M ≤ 500,000)이 주어진다. 넷째 줄에는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인지 구해야 할 M개의 정수가 주어지며, 이 수는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 수도 -10,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00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첫째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M개의 수에 대해서, 각 수가 적힌 숫자 카드를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지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접근방법
문제는 두 번째 줄의 숫자를 정리하여, 4번째에서 요구하는 숫자에 대한 개수 출력을 요구하고 있다. 상근이가 가진 N개의 카드 중 중복되는 숫자를 지닌 카드도 존재한다. 때문에 정렬할 때, 가지고 있는 개수 또한 고려해야 한다.
풀이
여러 풀이 방법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나는 여러 방법 중에 HashMap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했다. Hash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특정 길이에 임의의 값을 데이터로 매핑시키는 함수이다. key-value 구조를 가지며, 검색, 삽입 , 삭제가 빠르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징이 해당 문제에 적합하여, HashMap을 사용하였다. Key 값으로 카드 숫자, Value 값으로 해당 카드의 개수를 준다면, 쉽게 검색하여, 개수를 수정할 수 있다.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Main test = new Main();
}
public Main()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k;
HashMap<Integer, Integer> datas = new HashMap<>();
//N, N개의 카드 입력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k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for (int i = 0 ; i < N ; i++){
int keyNum = Integer.parseInt(stk.nextToken());
//Map에 삽입, 해당 카드 번호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하나씩 추가함
//Map에 처음 삽입하는 경우 default 0 으로 삽입
datas.put(keyNum,datas.getOrDefault(keyNum,0)+1);
}
//M과 M개의 숫자 입력
int M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targets = new int[M];
stk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for(int k = 0 ; k < M ; k++){
targets[k] =Integer.parseInt(stk.nextToken());
}
//출력
System.out.println(solution(datas,targets));
}
public StringBuilder solution(HashMap<Integer,Integer> datas, int[] targets){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 (int target : targets){
//존재 하지 않는 값에 대해선 0, 나머지는 빼옴
sb.append(datas.getOrDefault(target,0)+" ");
}
return sb;
}
}
결과
위 결과의 속도 차이는 반복문을 어떻게 쓰는 지의 차이였다. (로직의 차이는 없다는 의미이다.)
초기에 HashMap의 메서드인 hasMoreTokens()를 사용하여, 토큰을 모두 뽑아내었다. 그러다 보니 변수 N, M은 입력받아놓고도 쓰지도 않았다. -ㅅ-:
확실히 함수로 접근하는 것이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보여준 문제라고 생각한다.
포스팅에 문제가 있거나, 설명이 잘못된 부분 지적 환영합니다.
더 나은 퀄리티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부 > 코딩 테스트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0845 - 큐 (0) | 2021.09.06 |
---|---|
[백준] 2609 -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JAVA (0) | 2021.09.05 |
[백준] 18111 - 마인크래프트 (0) | 2021.09.04 |
[백준] 11050번 이항 계수 (0) | 2021.09.04 |
[백준] 2869 -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JAVA (0) | 2021.09.03 |
- Total
- Today
- Yesterday
- 프로그래머스 문제정복
- 카카오
- Spring
- dml
- 파이썬
- looker core
- 아기상어나쁜상어
- 그래프 탐색
- 아기상어미워
- Database
- db
- 자바
- DFS
- 프로그래머스
- 브루트포스
- looker instance 접속
- 재귀
- 플루이드 와샬
- DP
- 실패일기
- 백준
- 9019
- value annotation
- BFS
- Python
- 하루 회고
- java
- 유클리드-호제법
- JNDI연동
- 코딩테스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