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68v2I/btrbIemkJUI/596oDaXZSHn6TrE31fSzV1/img.png)
목표 자료형에 대한 이해 Self-check list 기본형과 참조형을 구별할 수 있다. 자료형이란 게 뭘까?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수를 담을 공간이 필요하다. 상황에 따라 큰 공간이 필요할 수도, 작은 공간이 필요할 수도 있다. 우리가 안경을 여행 케이스에 넣고 휴대하고 다니지 않는 것처럼, 변수에도 그에 맞는 적당한 공간(메모리)이 있다. 변수가 들어갈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공간을 자료형이라 한다. 자바의 자료형은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기본형(Primitive Type)과 참조형(Reference Type)으로 나뉜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해가 필요하다면 접은 글을 펼쳐 읽기를 권한다.(간단한 정의가 필요한 것이라면, 이 정도만 알고 넘어가자. 포스팅을 날먹(?) 하지 ..
공부/JAVA
2021. 8. 9. 21:5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카카오
- 코딩테스트
- 실패일기
- BFS
- db
- 유클리드-호제법
- 브루트포스
- DP
- 자바
- DFS
- Python
- 플루이드 와샬
- 백준
- 그래프 탐색
- 하루 회고
- java
- 프로그래머스
- Database
- 재귀
- looker instance 접속
- JNDI연동
- 아기상어나쁜상어
- Spring
- value annotation
- looker core
- 프로그래머스 문제정복
- dml
- 파이썬
- 9019
- 아기상어미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